티스토리 뷰

책 서평 : 정확한 사랑의 실험

디지털마켓어 2017. 11. 7. 16:19

 

정확한 사랑의 실험

신형철

 

★★★★★

 


문학평론가 신형철님의 세 번째 책입니다.

마음산책에서 출판됐어요.

 

<정확한 사랑의 실험>은 2012년 6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약 2년간

 「씨네21」에 발표했던 '신형철의 스토리-텔링' 연재글 19편과,

2011년 웹진 '민연'에 발표했던 글 2편,

2013년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에 발표했던 글 1편을 묶어

27편 영화를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총 22편의 글은 주제와 성격에 따라 4부로 나뉘어 있습니다.

연재 외 발표 글은 5부 '부록'으로 엮여 있어요.

 

4부로 묶은 글의 주제는 각각 '사랑의 논리', '욕망의 병리', '윤리와 사회', '성장과 의미'입니다.

저자는 '책머리에'에서,

 

"네 개의 주제로 나눠 묶고 보니 비평가로서의 내 관심사가 대개 이 넷으로 수렴된다는 것을 알겠다"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 네 가지 테마는 사실 인간이 인간으로 존재하기 위한 조건,

즉, '인간의 조건'과 결부되는 것들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우리는 예술을 보고 듣고 읽으며 이것에 대해 비평을 함으로서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어때야 하는지, 혹은 우리의 삶은 어떨 수 있는지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잖아요.

즉, 예술을 읽고 이를 해석함으로서 우리는 '인간의 조건'에 대해 탐구하게 된다는 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사랑의 논리, 욕망의 병리, 윤리와 사회, 성장과 의미 라는 네 가지 테마는

인간이 인간으로 살아가면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와 깊이 결부되어 있기에,

예술비평가가 예술을 비평하기 위해 고른 테마로서 아주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인간이 살아가면서 맞닥뜨려야 할

철학적인 문제들을 정면으로 마주한 예술들, 그리고 그 예술들에 대한 해석과 비평이라면

인간이라는 존재를 더 없이 깊게 파고들 수 있을테니까요.

이 책의 저자 신형철님은 이미 문학비평으로 두꺼운 팬층을 확보했습니다.

문학평론가로서 영화평론을 쓴다는 일이 쉽진 않았겠죠.

어두운 극장에서 메모를 하고 같은 영화를 대여섯 번 반복해서 보며 이 글을 쓴 신형철님은

「씨네21」 연재 당시 이런 글을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영화라는 매체의 문법을 잘 모르는 내가 감히 영화평론을 쓸 수는 없다.

영화를 일종의 활동서사로 간주하고, 문학평론가로서 물을 수 있는 것만 겨우 물어보려 한다.

좋은 이야기란 무엇인가, 하고."

신형철 평론가님이 쓰는 영화평론은 결국 '좋은 이야기'에 대한 글이며

그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인간의 비밀에 대한 글이기도 합니다.

눈이 깊은 저자는 그 비밀을 더 정확하게 말하기 위한 노력을 이 책 안에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인식의 깊이를 확장시킨다는 것. 바로 이런 책을 통해서 가능한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서평 : 언론고시 하우 투 패스  (0) 2017.11.13
책 서평 : 자기 결정  (0) 2017.11.09
책 서평 : 에로스의 종말  (0) 2017.11.02
책 서평 :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0) 2017.11.01
책 서평 : 사회학의 쓸모  (0) 2017.10.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