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일상다반사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64)
    • 여행 (62)
    • 책 (43)
    • 영화 (1)
    • 맛집 (45)
      • 요리 레시피 (43)
    • 문화 (2)
    • 일상 (3)
  • 방명록

맛집 (45)
닭가슴살 크림 파스타

닭가슴살 크림 파스타 오늘의 요리는 '닭가슴살 크림 파스타'입니다. 크림 파스타. 결코 어렵지 않죠. 먼저 파스타의 기본은 면 익히기! 일반적으로 먹는 파스타면은 스파게티죠. 저는 페투친네로 했습니다. 페투친네는 원통형인 스파게티에 비해 넙적하다는 게 특징이지요. 크림이나 토마토소스 같은 양념이 들어가는 파스타에 적합합니다. 면의 면적이 넓어서 소스가 많이 묻으니까요. 물론 특별한 양념이 안 들어가더라도 좋습니다. 알리오 올리오를 할 때도 크게 문제가 안 된다는 이야기죠. 넓은 면적의 면이 가진 고유한 식감이 있어서 스파게티랑은 또 다른 느낌을 냅니다. 면의 면적이 넓으니, 스파게티 면보다는 조금 더 오래 익혀주세요! 8분에서 10분 사이로 익혀주면 좋습니다. 저는 9분 조금 안되게 익히니 딱 좋은 알단..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1. 8. 16:17
수제 탕수육

수제 탕수육 오늘의 요리는 무려 '수제 탕수육'입니다. 탕수육이면 탕수육이지. 왜 '수제 탕수육'이냐고요? 그야 집에서 직접 만들었으니 수제 탕수육이라고 한 거죠. 사실 튀김 요리는 역시 밖에서 사 먹는 게 제일입니다. 기름 튀죠. 기름도 많이 들죠. 음식 손질 해야되죠. 튀김옷 입혀야 되죠. 주변 청소까지 말끔하게 해야죠. 손이 많이 가요. 그래도 만들어 먹고싶었습니다. 그럴 때 있잖아요. 귀찮고 뭐 그런 거 없이 딱! 먹고싶을 때, 그리고 딱! 만들수 있을 때! 마침 집에 튀김가루도 있었고, 돼지고기도 있었습니다. 돼지고기는 앞다리살을 이용했습니다. 조리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돼지고기 앞다리살을 먹기좋은 크기로 자릅니다. 그리고 달걀을 깬 뒤 노른자와 흰자를 잘 섞어줍니다. 튀김옷을 만들어야 하니까요..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1. 6. 13:15
닭고기와 마늘을 넣은 간장볶음밥

닭고기와 마늘을 넣은 간장볶음밥 오늘의 요리는 닭고기와 마늘을 넣은 간장볶음밥입니다. 아주 심플한 요리죠. 후라이팬을 살짝 불에 달군 뒤, 기름을 두릅니다. 보통의 볶음밥을 하는 과정가 같아요. 달아오른 기름 위에 마늘을 볶습니다. 양파를 같이 넣어주셔도 되요. 전 양파도 넣었습니다. 마늘과 양파가 노릇노릇하게 익으면 바로 닭고기를 투하합니다! 제가 이용한 닭고기는 닭도리탕용으로 손질돼있는 닭이었습니다. 후라이팬의 불을 중간불로 줄인 뒤 좀 오랜 시간 익혀 줘야 닭이 안까지 익어요. 만약 닭이 냉동이라거나, 실온에 꺼내놓지 않은 상태라면 전자레인지를 이용해서 조금 돌려준 뒤에 후라이팬에 투하해주셔도 좋습니다. 물론 닭을 미리 꺼내 실온에 둘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게 좋겠죠. 마늘과 양파 위에 올린 닭을..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1. 3. 13:04
사케동

사케동 오늘의 요리는 사케동입니다.우리말론 연어덮밥이죠. 사실 요리랄 건 없고 연어회가 있어서 밥 위에 얹은 것 뿐입니다. 간장과 식초를 살짝 섞은 거 외엔 특별히 한 것은 없어요. 사진에 보면 와사비와 함께 고추가 살짝 얹어져 있습니다.나름 데코를 노리면서 아삭아삭한 식감을 더해주려고 올린 것이었어요. 덕분에 맛있었습니다. 사케동이 땡기는 날! 연어를 사다가 집에서 이렇게 만들어 먹는 것 추천합니다!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31. 16:07
중국식 돼지고기볶음

중국식 돼지고기볶음 오늘의 요리는 중국식 돼지고기 볶음입니다.집에 갈아놓은 토마토가 있어서 그걸 이용했습니다.굴소스도 이용했구요.아무래도 중식이니 굴소스가 빠질 수 없겠죠? 일단 간 토마토와 굴소스를 5:5비율로 섞어서 소스를 만들면 됩니다. 그전에 돼지고기 앞다리살, 당근, 양파, 두부를 함께 넣어서 볶으면 되죠.당근과 양파, 두부, 돼지고기는 적당한 크기로 깍둑썰기 하셔야 하는 거 잊지마시구요! 후라이팬에 재료들을 올리고 한참 볶다가 만들어둔 소스를 부운 뒤조금 더 함께 볶은 다음, 불을 꺼주세요. 중식 느낌으로 먹는 거니까 불은 센 불로 놔주시면 좋습니다! 쫄깃쫄깃한 돼지고기 앞다리살과 부드럽게 뭉개지는 두부의 맛이 일품입니다!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27. 16:03
일본식 카레나베

일본식 카레나베 오늘의 요리는 일본식 카레나베입니다.성시경 신동엽의 에 배우 백도빈님이 나와서 만든 요리였어요.보자마자 해먹어 보고 싶었답니다. 보통은 여기에 우동을 넣죠.하지만 저는 우동 대신 소면을 썼습니다.소면도 괜찮았어요. 다시 카레 얘기로 돌아와서,일본식 카레(고체카레)는 맛이 일품입니다.굉장히 진하고 풍미가 깊어요. 요리는 이렇게 했습니다. 다시마육수에 풀었고요.두부와 수제 소시지, 어묵, 당근 양파를 넣고 끓였어요.왠지 일본 느낌(?)이 나게 해야 할 것 같아서, 삿포로 맥주와 함께 먹었습니다. 맥주를 곁들였더니 카레의 짭쪼름함과 깊은 맛이맥주의 알싸함과 시워함과 만나 아주 맛있는 식사를 완성시켜주었어요.일본식 카레나베, 굉장히 맛있게 먹은 요리 중 하나랍니다.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26. 16:45
치즈토마토리조또

치즈토마토리조또 오늘의 요리는 치즈토마토리조또입니다.한 번 더 해먹었죠.자주 해먹는 스타일의 요리예요.일단 치즈도 좋아하고 토마토도 좋아하거든요. 집에서 토마토를 갈아놓아서 이걸 마음껏 해먹을 수 있기도 했답니다.요리법은 간단합니다. 저번에도 적었는데,마늘과 양파를 볶고 밥을 넣은 뒤, 갈아놓은 토마토에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합니다. 다 볶은 뒤엔 마지막으로 모짜렐라치즈를 슬슬 뿌리고 불을 줄인 뒤후라이팬 뚜껑을 닫아주면 되요. 어렵지 않죠?간단한 방법으로 이탈리아 스타일의 풍미 깊은 요리를 만들어보세요!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24. 16:39
닭가슴살을 넣은 김치볶음밥

닭가슴살을 넣은 김치볶음밥 오늘의 요리는 닭가슴살을 넣은 김치볶음밥입니다. 기름을 두른 팬에 양파, 당근을 볶고 김치와 밥, 닭가슴살을 찢어서 함께 넣었습니다. 완성된 뒤에는 파슬리와 후추를 살짝 뿌려주면 좋습니다.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23. 16:31
고추를 넣은 치즈토마토리소또

고추를 넣은 치즈토마토리소또 오늘의 요리는 고추를 넣은 치즈토마토리소또입니다. 치즈와 토마토, 고추를 넣었어요. 볶음밥하듯이 볶되 육수를 넣고, 끝낼때 모짜렐라 치즈를 올렸습니다. 토마토는 넣어서 부쉈구요. 껍질은 소화가 잘 안되서 보통 버리라고 하는데, 전 아까워서 그냥 함께 넣어 먹었습니다.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20. 16:10
매운 카레

매운 카레 오늘의 요리는 매운 카레입니다. 기본적인 레시피는 카레를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과 같습니다. 당근, 감자, 양파, 돼지고기를 깍둑썰기로 썰고, 물에 삶고 카레가루를 풀면 되죠. 완성된 카레를 밥위에 얹고나서 카레밥에 고춧가루와 청양고추를 살짝 썰어 올린 뒤 방울토마토로 데코를 하면 이렇게 완성된답니다. 아주 맛있어요!

맛집/요리 레시피 2017. 10. 19. 16:45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ussmidway
  • 오사카벚꽃
  • 씨포트빌리지
  • 우베여행
  • 요나고여행
  • LA여행
  • 샌디에고추천
  • 베트남항공권
  • 보일링크랩
  • 샌디에고여행
  • 뉴욕여행
  • 야나가와뱃놀이
  • 샌디에고
  • 디즈니랜드LA
  • 오키나와스테이크
  • 플리퍼
  • 에어서울
  • 에어서울프로모션
  • 디즈니랜드어드벤처
  • 라호야코브
  • 여권사진규정변경
  • LA여행추천
  • 게티뮤지엄
  • 샌프란시스코
  • 일본특가항공권
  • 후쿠오카4월
  • 후쿠오카벚꽃
  • 일본항공권특가
  • 너를위한선물
  • 뉴욕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